2022년 말미부터, 2023 경제 전망에 대한 다수의 비관적인 동영상과 글들이 쏟아져 나왔습니다.
큰 폭의 물가상승과 몇몇 지역의 부당산 가격이 폭락하며 경제위기에 대한 우려가 커졌죠.
더불어, 미국 연준의 2007년 9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의 금리로 인한 시장 유동성 악화가 예고되었습니다.
다양한 경제 지수와 뉴스가 모두 2023 경제위기를 가르키고 있지만, 이에 대응할 방법에 대한 '절대적인' 매뉴얼은 제시되지 않습니다. 매체에서 쏟아져나오는 다양한 매뉴얼들중 그나마 논리적으로 보이는 한가지 규칙을 골라 곧바로 행동으로 옮기기에는, 우리 주변에는 너무 나도 많은 '말'들이 존재하고 그중 대부분은 무자비하고 무책임하죠. 저는 이 말들에 따라 시시때때로 돈들을 움직여본 적이 있습니다. 제가 열심히 번 돈들이 너무나도 쉽게 손 틈새로 빠져나가더라구요, 하하. 그 과정에서, 저만의 투자 규칙을 성립시키는것이 얼마나 필요한 절차인지 절실히 느꼈습니다.
장기적으로 보았을때 투자의 승패를 결정하는 요인은, 시장을 전반적으로 살펴보기 위한 통찰력과 자신만의 견고한 투자 규칙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저는 저만의 투자 규칙을 성립하기 위해서, '데이터'를 유심히 살펴보려 합니다. 물론, 주식시장에서의 절대적인 규칙성을 찾기엔 한계가 존재하겠죠. 또한, 우리가 살펴보는 데이터는 모두 '과거'의 데이터라는 점, 주식 시장은 '불규칙'하게 움직인다는 점에서 퀀트 투자는 많은 비판을 받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감정적으로 시장을 대처하는것을 지양하는데에 정량적 데이터를 적절히 활용한 주식투자는 투자하시는 분들께 많은 도움이 될것으로 사용됩니다.
올해의 경제상황에 어떻게 대응할지 계획을 수립하던 중에, 공부하는것을 기록하고 소통해보면 어떨까 하고 글을 시작해봅니다. 위기를 기회로! 만들기 위해 여러분들과 소통하며 꾸준히 포스팅을 할 예정이니, 지켜봐 주세요 :)
'Economics & Qua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분산 투자의 지침이 되는, 현대 포트폴리오 이론 (Modern Portfolio Theory) ! (0) | 2023.01.24 |
---|
댓글